가문을 빛낸 선조

본문

mark.png 치암공 휘 행우 행적

행  적

선조 목록

 

단 기

서 기

나 이

조 선

약   보

3939

1606

1

선조 39년

습정공(習靜公, 휘 厚基)의 둘째아들로 태어남.

자는 사회(士會), 초호는 수남(水南).

3957

1624

19

인조 2년

생원시(生員試) 입격.

3966

1633

28

인조 11년

증광문과(增廣文科) 을과(乙科)로 급제(及第).

3967

1634

29

인조 12년

2월 28일

장사랑(將仕郞) 예문관(藝文館) 검열(檢閱)을 제수(除授)받음.

12월 20일

승사랑(承仕郞) 예문관(藝文館) 대교(待敎)를 제수 받음.

3968

1635

30

인조 13년

7월 24일

승훈랑(承訓郞) 사간원(司諫院) 정언(正言)을 제수 받음.

7월 28일

승훈랑(承訓郞) 사간원(司諫院) 정언을 사직함.

8월 29일

승훈랑(承訓郞) 사간원(司諫院) 정언을 제수 받음.

10월 19일

통선랑(通善郞) 사간원(司諫院) 헌납(獻納)을 제수 받음.

12월 25일

통선랑(通善郞) 사헌부(司憲府) 지평(持平)을 제수 받음.

3969

1636

31

인조 14년

5월 2일

통선랑(通善郞) 사간원(司諫院) 헌납을 제수 받음.

6월 19일

승의랑(承義郞) 이조좌랑(吏曹佐郞)을 제수 받음.

3970

1637

32

인조 15년

병자호란 척화신(斥和臣). 영국원종(寧國原従) 일등공신

(一等功臣) 녹훈.

3971

1638

33

인조 16년

6월 22일

승의랑(承義郞)  홍문관(弘文館) 수찬(修撰)을 제수 받음.

8월 8일

승의랑(承義郞)  홍문관(弘文館) 수찬을 사직함.

8월 12일

함경도, 평안도, 충청도 등 3도 암행어사를 제수 받음.

3972

1639

34

인조 17년

3월 4일

승의랑(承義郞)  홍문관(弘文館) 수찬을 제수 받음.

3월 19일

통덕랑(通德郞) 이조정랑(吏曹正郞)을 제수 받음.

5월 20일

통덕랑(通德郞) 이조정랑에서 파직됨.

7월 11일

중훈대부(中訓大夫) 사헌부 집의(執義)를 제수 받음.

9월 15일

중훈대부(中訓大夫) 사간원 사간(司諫)을 제수 받음.

10월 3일

중훈대부(中訓大夫) 사헌부 집의를 제수 받음.

10월 25일

조산대부(朝散大夫) 홍문관 부응교(副應敎)를 제수 받음.

11월 19일

중훈대부(中訓大夫) 사간원 사간을 제수 받음.

3973

1640

35

인조 18년

6월 16일

중훈대부(中訓大夫) 사헌부(司憲府) 집의를 제수 받음.

7월 11일

봉정대부(奉正大夫) 홍문관 응교(應敎)를 제수 받음.

8월 27일

중훈대부(中訓大夫) 사간원 사간을 제수 받음.

3974

1641

36

인조 19년

3월 3일

봉정대부(奉正大夫) 홍문관 응교를 제수 받음.편수관(編修官)을 제수 받음.

6월 7일

중훈대부(中訓大夫) 사간원 사간을 제수 받음.

7월 13일

누락된 사기(史記)를 보충 편집하는 겸춘추관(兼春秋館)

7월 23일

중훈대부(中訓大夫) 사헌부 집의를 제수 받음.

9월 5일

봉정대부(奉正大夫) 홍문관 응교를 제수 받음.

9월 15일

중훈대부(中訓大夫) 사헌부 집의를 제수 받음.

3976

1643

38

인조 21년

4월 3일

중훈대부(中訓大夫) 사간원 사간을 제수 받음.

7월 23일

조산대부(朝散大夫) 홍문관 부응교를 제수 받음.

9월 10일

중훈대부(中訓大夫) 사간원 사간을 제수 받음.

9월 16일

통정대부(通政大夫) 승정원(承政院)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제수 받음.

12월 24일

지나친 사치 풍조를 엄중히 경계하고 무거운 율(律)로 다스려 금할것을 임금에게 청하여 승락을 받음.

3977

1644

39

인조 22년

4월 1일

통정대부(通政大夫) 승정원 좌부승지(左副承旨)를 제수받음.

11월 16일

통정대부(通政大夫) 이조참의(吏曹參議)를 제수 받음.

12월 26일

통정대부(通政大夫) 승정원 좌부승지를 제수 받음.

3978

1645

40

인조 23년

6월 21일

통정대부(通政大夫) 사간원(司諫院) 대사간(大司諫)을 제수받음.

3980

1647

42

인조 25년

8월 29일

통정대부(通政大夫) 이조참의를 제수 받음.

3981

1648

43

인조 26년

3월 17일

통정대부(通政大夫) 사간원 대사간을 제수 받음.

7월 11일

통정대부(通政大夫) 홍문관(弘文館) 부제학(副提學)을 제수받음.

8월 29일

통정대부(通政大夫) 이조참의를 제수 받음.

9월 3일

통정대부(通政大夫) 사헌부 지평(持平)을 제수 받음.

3982

1649

44

인조 27년

3월 21일

통정대부(通政大夫) 사간원 대사간을 제수 받음.

효종즉위년

6월 9일

통정대부(通政大夫) 승정원 승지를 제수 받음.

10월 24일

통정대부(通政大夫) 이조참의를 제수 받음.

3983

1650

45

효종1년

9월 1일

통정대부(通政大夫) 사간원 대사간을 제수 받음.

11월 1일

통정대부(通政大夫) 홍문관 부제학을 제수 받음.

3984

1651

46

효종 2년

향년 46세로 별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