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서 기 |
나 이 |
조 선 |
약 보 |
1648 |
1 |
인조 26년 11월 24일 |
몽탄공(夢灘公, 諱 萬雄)의 장자(長子)로 출생. 자(字) 백상(伯祥). |
1673 |
26 |
현종 14년 |
진사시 장원(進士試 壯元)합격. |
1684 |
37 |
숙종 10년 |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
1685 |
38 |
숙종 11년 8월 19일 |
승훈랑(承訓郞)사간원(司諫院)정언(正言)제수. |
11월 29일 |
선무랑(宣務郞)홍문관(弘文館)부수찬(副修撰)제수. |
||
12월 11일 |
함경도 암행어사(咸鏡道 暗行御史)제수 |
||
1686 |
39 |
숙종 12년 3월 4일 |
통선랑(通善郞)사헌부(司憲府)지평(持平)제수. |
윤4월 4일 |
봉훈랑(奉訓郞)홍문관(弘文館)부교리(副校理)제수. |
||
윤4월28일 |
통선랑(通善郞)경연(經筵)시독관(侍讀官)제수. |
||
5월 1일 |
봉훈랑(奉訓郞)홍문관(弘文館)부교리(付校理)제수. |
||
5월 18일 |
통선랑(通善郞)경연(經筵)시독관(侍讀官)제수. |
||
8월 6일 |
통선랑(通善郞)홍문관(弘文館)교리(校理)제수. |
||
8월 25일 |
통선랑(通善郞)홍문관(弘文館)교리(校理)제수. |
||
12월 10일 |
봉훈랑(奉訓郞)홍문관(弘文館)부교리(副校理)제수. |
||
1688 |
41 |
숙종 14년 11월 6일 |
봉훈랑(奉訓郞)홍문관(弘文館)부교리(副校理)제수. |
11월 15일 |
통선랑(通善郞)홍문관(弘文館)교리(校理)제수. |
||
11월 22일 |
봉훈랑(奉訓郞)홍문관(弘文館)부교리(副校理)제수. |
||
12월 10일 |
선무랑(宣務郞)홍문관(弘文館)부수찬(副修撰)제수. 희빈장씨 외척비위 극간 여총화(女寵禍)차단 상소로 정배 |
||
1694 |
47 |
숙종 20년 윤5월 5일 |
희빈장씨 출궁 후 해배(유배지南海)복직. 승훈랑(承訓郞)홍문관(弘文館)수찬(修撰)제수. |
6월 5일 |
승훈랑(承訓郞)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겸사서(兼司書)제수. |
||
6월 11일 |
봉훈랑(奉訓郞)이조정랑(吏曹正郞)제수. |
||
6월 19일 |
승훈랑(承訓郞)홍문관(弘文館)수찬(修撰)제수. |
||
6월 21일 |
봉렬대부(奉列大夫)경연(經筵)강관(講官)제수. |
||
6월 23일 |
봉훈랑(奉訓郞)이조정랑(吏曹正郞)제수. |
||
8월 2일 |
봉렬대부(奉列大夫)홍문관(弘文館)응교(應敎)제수. |
||
8월 29일 |
중훈대부(中訓大夫)사헌부(司憲府)집의(執義)제수. |
||
10월 11일 |
중훈대부(中訓大夫)사간원(司諫院)사간(司諫)제수. |
||
1695 |
48 |
숙종 21년 2월 12일 |
통정대부(通政大夫)이조참의(吏曹參議)제수 |
4월 10일 |
통정대부(通政大夫)예조참의(禮曹參議)제수. |
||
5월 11일 |
통정대부(通政大夫)사간원(司諫院)대사간(大司諫)제수 |
||
1696 |
49 |
숙종 22년 4월 18일 |
가선대부(嘉善大夫)황해도 관찰사(黃海道 觀察使)제수 |
8월 25일 |
통정대부(通政大夫)이조참의(吏曹參議)제수 |
||
1697 |
50 |
숙종 23년 6월 6일 |
통정대부(通政大夫)사간원(司諫院)대사간(大司諫)제수. |
9월 21일 |
통정대부(通政大夫)형조참의(刑曹參議)제수 |
||
1698 |
51 |
숙종 24년 1월 14일 |
가선대부(嘉善大夫)평안감사(平安監司)제수. |
2월 6일 |
가선대부(嘉善大夫)평안도 관찰사(平安道 觀察使)제수. |
||
4월 20일 |
가선대부(嘉善大夫)형조참판(刑曹參判)제수. |
||
7월 15일 |
가선대부(嘉善大夫)예조참판(禮曹參判)제수. |
||
7월 20일 |
통정대부(通政大夫)성균관(成均館)대사성(大司成)제수. |
||
8월 7일 |
가선대부(嘉善大夫)경기감사(京畿監司)제수. |
||
1699 |
52 |
숙종 25년 1월 3일 |
가선대부(嘉善大夫)한성부 우윤(漢城府 右尹)제수. |
2월 13일 |
수(壽)52세로 별세. 증(贈)자헌대부(資憲大夫)이조판서(吏曹判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