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문을 빛낸 선조

본문

mark.png 지돈녕공 휘 징하 행적

행  적

신도비

선조 목록

 

<1655년(효종 06) ~ 1727년(영조 03)>  

자(子)는 계상(季祥), 좌승지(左承旨) 이행건(李行健)의 손자이며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이만웅(李萬雄)의 아들로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 이징명(李徵明)의 아우이다. 음직으로 입사(入仕)하였다. 내직(內職)으로 내시 교관(內侍敎官)을 거처 장악원 주부(掌樂院主簿)로 전임(轉任)하고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 평시서 령(平時署令), 익위사 위솔(翊衛司衛率), 사복시 판관(司僕寺判官), 선혜청 낭청(宣惠廳郎廳)을 거처 장악원 첨정(掌樂院僉正)을 지냈고 외직(外職)으로는 황주 판관(黃州判官), 통훈 대부(通訓大夫) 공주 목사(公州牧使), 연안 부사(延安府使), 밀양 부사(密陽府使)를 역임하였다.

 

1713년(숙종 39) 1월

선혜청 낭청(宣惠廳郎廳)에서 회양 부사(淮陽府使)로 제수

1715년(숙종 41) 3월

청주목사(淸州牧使)에 승배(陞拜)되었는데, 진휼(賑恤)을 잘하여 포상(褒賞)

1718년(숙종 44) 5월

무주 부사(茂朱府使)로 부임(赴任)

1719년(숙종 45) 2월

이배(移排)

1720년(숙종 46)

통훈 대부 황주 목사 황주진 병마첨절제사(通訓大夫黃州牧使黃州鎭兵馬僉節制使)로 재직하였다. 황주 목사 시절에 흉년이 들어 진휼(賑恤)을 잘하니 통정 대부 황주 목사 황주진 병마첨절제사(通政大夫黃州牧使黃州鎭兵馬僉節制使)에 가(加資)되었다. 이어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 위장(衛將)이 되었고 그 뒤 가선대부(嘉善大夫)와 자헌대부(資憲大夫)로 승품(陞品)하였는데 이것은 모두 보전(寶篆) 서사(書寫)를 잘하였기 때문이다.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를 거쳐 품질(品秩)이 자헌대부(資憲大夫)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로 됨

1727년(영조 03) 9월

(卒)

 

글씨를 잘썼는데, 경기도 남양주시에 1720년(숙종 46) 6월 입석(立石)한『유명조선국절충장군전라좌도수근절도사이공[제면]묘갈명병서 (有明朝鮮國折衝將軍全羅左道水軍節度使李公[濟冕]墓碣銘幷序)』와 예조 참판(禮朝參判)을 지낸 유철(兪撤)의 만시비(挽詩碑), 경기도 양평군 수입리의 이만웅 신도비(李萬雄神道碑), 유명조선국용문조선생[욱]묘비명병서(有明朝鮮國龍門趙先生[昱]墓碑銘幷序)등에 그의 전액[篆額:비의 상단부에 전서체로 쓴 제자(題字)]이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