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고동공 휘 익회 행적 |
1767년(영조 43)∼1843년(헌종 9). 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좌보(左甫), 호는 고동(古東). 동지돈령부사 낙배(樂培)의 아들이며, 증이조판서 득배(得培)에게 입양되었다. 음보(蔭補)로 김제군수가 되었다. 글씨에 능하였으며, 작품에 창덕궁 대조전(大造殿)현판, 강원도 강릉시의 경포대(鏡浦臺)의 해서(楷書) 현판과 삼우당 문익점신도비 (三憂堂文益漸神道碑)가 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1811년(순조 11) |
증광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
1817년 |
홍문관에 등용 |
1820년 |
대사간을 역임 |
1825년 |
대사성 제수 |
1827년 |
이조참의 제수 |
1834년 |
홍문관제학에 올라 동지사(冬至使)로 청나라에 감 |
1835년(헌종 1) |
대사헌이 된 뒤 여러 번 거듭해서 대사헌의 직을 제수 |
1843년 |
한성부판윤 제수 |
경포대 해서 현판 |
창덕궁 근정전 현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