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승지공 휘 현문 행적 |
서 기 |
나 이 |
조 선 |
약 보 |
1803 |
1 |
순조 3년 |
통덕랑공(通德郞公, 諱 英會)의 자(子) 자(字) 성도(聖圖). (생부 구회(九會) |
1837 |
35 |
헌종 3년 12월 23일 |
반궁감제(半宮柑製)진사시(進士試)합격. 표문(表文)수위(首位).직부전시(直赴殿試)제수. |
1838 |
36 |
헌종 4년 |
감제정시문과(柑製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
1839 |
37 |
헌종 5년 7월 27일 |
무공랑(務功郞)승정원(承政院)주서(注書)제수 |
1844 |
42 |
헌종 10년 10월 19일 |
승훈랑(承訓郞)북평사(北評事)제수.
북평사(北評事)에 제수되어 봉명사신(奉命使臣)으로 가시던 중 양주(楊州)에 사는 상천(常賤)이 사민(士民)을 욕하고 있다는 신고를 접하시고 반상(班常)의 법도에 따라 문초(問招)중 사망하여 파직투옥(罷職投獄)되시어 헌납(獻納)정석린(鄭錫麟)이 당초 죽이려고 한 것이 아니고 상천(常賤)의 수명이 다하여 사망 했다는 무죄상소(無罪上疏)를 했으나 헌종(憲宗)14년1월10일 금갑도(金甲島)에 정배(定配). 자료; 정석린(鄭錫麟)상소문.
|
1853 |
51 |
철종 4년 4월 30일 |
해배복직(解配復職). 홍문록(弘文錄)에 등재(登載) |
1864 |
62 |
고종 1년 1월 10일 |
통훈대부(通訓大夫)봉상시(奉常寺)정(正)제수. |
3월 1일 |
중훈대부(中訓大夫)사헌부(司憲府)집의(執義)제수 |
||
3월 7일 |
중훈대부(中訓大夫)사헌부(司憲府)집의(執義)제수 |
||
3월 9일 |
중훈대부(中訓大夫)행(行)오위(五衛)부사직(副司直)제수. |
||
3월 25일 |
중훈대부(中訓大夫)사헌부(司憲府)집의(執義)제수 |
||
4월 6일 |
중훈대부(中訓大夫)행(行)오위(五衛)부사직(副司直)제수. |
||
4월 11일 |
중훈대부(中訓大夫)봉폐관(封閉官)집의(執義)제수 |
||
4월 12일 |
통훈대부(通訓大夫)봉상시(奉常寺)정(正)제수. |
||
9월 19일 |
통정대부(通政大夫)예조참의(禮曹參議) 동부승지(同副承旨)제수. |
||
1867 |
65 |
고종 4년 |
동료의 무고(誣告)로 정배(定配)되셨으나, 육조(六曹)에서 삼백 여명의 무죄상소(無罪上疏)로 하루 만에 해배(解配) 복직(復職). 수(壽)65세로 별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