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문을 빛낸 선조

본문

mark.png 노포공 휘 정로 행적

행  적

선조 목록

 

<1838년~1923년>

조선 말기의 문신. 자는 대재(大哉). 호는 사계(四季), 노포(老浦). 경기도 양평 출생. 증의정부참정(贈議政府參政) 근오(根五)의아들이다.

 

1858년(철종 9)

정시 병과에 급제 가주서 초계문신(抄啓文臣) 용강현령 부교리 정언 응교

1863년

철종실록낭청으로 임명된 뒤 부호군 및 각 조의 참의

1875년(고종 12)

경주부윤 충주목사 한성부좌윤을 역임

1882년

이조 참의로 감생청(凵省廳)에 참여하여 광원수의 감축 등을 주장하였으나, 청나라의 압력으로 곧 실각 됨

1891년

도승지가 되고 김병시(金炳始)등의 수구파 정부에서 예조판서 의정부 좌참찬 역임

1893년

동지정사로 임명되어 청나라에 갔다가 이듬해 귀국하여 중국의 철도부설, 청나라와 조선과의 관계에 대하여 고종에게 복명

1894년

동학혁명이 일어난 뒤 형조판서가 되었고 이조판서로 군국기무처에 관여

1895년

유진만(兪鎭萬)과 함께 복수청(復讐廳)을 설치하고 을미사변 때 폐비에 관계된 자들을 정법(正法) 할 것을 상소 함

1896년

궁내부 특진관이 되었고 소두(疏頭)로 고종이 러시아 공관에서 환궁 할 것을 간청하는 상소를 올림

1898년

산릉도감제조로 소홀한 능관리 때문에 철도(鐵島)에 15년간 유배 처분을 받았다. 광무 융희 연간에는 중추원 1등 의관 봉상시 제조, 경효전 제조 등 궁내부 각 아문의 장을 지냄

 

gm1-56.jpg

gm1-56-2.jpg

이정로 조동리 영세불망비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조동리

 

이정로는 1875년(고종 12)에 경주부윤을 거쳐 충주목사로 부임했다.

이 영세불망비는 이정로가 충주목사로 재직 중 선정(善政)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