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문을 빛낸 선조

본문

mark.png 지범공 휘 수준 묘

행  적

신도비

영  정

선조 목록

 

묘갈명과 서문

gm2-1-2.jpg

지범공 휘 수준 묘

청강 이공은 기절과 문장으로 일대의 위인으로 숭앙된데다가 더욱 법도있는 가문으로 이름이 있었으므로 그 아들들이 모두 현명하였다. 둘째 아들이 수준(壽俊)인데 자는 태징이니, 처음부터 그를 아는 선비들 사이에서 국사(國士)가 될 것이라고 기대한 바 있었다. 그랬는데 중국으로 사신갔다가 오는 도중에서 세상을 떠나게 되자 그 친구들이나 아랫 사람은 행차있는 대로 달려가고, 일가친척들은 멀리 마중 나와서 슬퍼하며, 한 동리 사람들은 골목에서 울었고, 조정의 이름난 선비들로부터 낮은관리에 이르기까지 그를 알거나 모르거나를 물론하고 달려와서 조문하며 곡하였는데, 마치 앞을 다투듯이 하였다. 그리고 친척과 옛 친구가 모두 모여서 그 초상이며 후사를 만족할 정도로 치러 주었다. 아! 태징이여! 벼슬자리에서도 오직 산서(散署)에 있었으며, 항상 외위(外位)에 물러 앉아서 조정에서는 일년을 넘겨 보지 못하였다. 공과 은택을 많은 사람에게 입힐 정도가 되지 못하였는데도 능히 사람들로 하여금 사모토록 하는 정도가 이럴 지경이라면, 여기에서 비로소 착한 일을 하는 사람은 진실로 사람을 감복하게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고 하겠고, 사람이 누구를 사모하고 공경하는 것은 그 덕망(德望)에 있는 것이지 벼슬과 지위에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도 짐작할 수 있는 일이다. 태징은 천자가 낙천적이면서도 평이하고 신기와 식견이 막히는데가 없고, 키가 크고 골격이 빼어나서 동지가 아름답고 의젓하였다. 사람과 더불어 사귈 때에는 그 사람의 마음가짐을 꿰뚫어 볼 수 있는 형안(炯眼)이 있었고, 처음에 딱 한번 마음먹으면 절대로 변절하는 일이 없으며, 다른 사람의 과실을 발견하였을 때에는 반드시 충고하고 잘 타일러 고치도록 하는 까닭에 그와 사귄 사람은 사랑하면서도 공경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고, 오래되면 오래될수록 더욱 미덥게 여기었으니, 일찍이 우계선생(牛溪先生) 문하에서 공부하였는데 그 문하의 선비들이 모두 입을 모아 칭찬하였다.

 

청강공이 북영에 있을 때 오랑캐들이 경원을 함락시키니 중외(中外) 모두가 발칵 뒤집혔다. 태징(台徵)이 포의로 상소를 올려 전선으로 나아가 아비와 함께 죽기를 원하니 선조께서 장하게 생각하여 전지를 주어 보내니 도문밖에 배웅나온 사람들이 길을 메워 빠져나갈 수 없을 정도이었으므로 일시에 아름다운 화제가 되었다. 청강공께서 적소에서 병이 위독하게 되니, 태징이 향을 피우고 하늘을 향하여 회생되기를 빌었고, 또 대변의 맛을 보아 길흉을 징험하기도 하고, 손가락을 깨어 피를 약에 섞어 드리기도 하였다. 기어이 상을 당하자 맨발로 관을 모시고 돌아와서 몸소 흙을 져다가 묘를 만들었으며, 손수 제수(祭需)를 받들었고 하루 죽한 그릇씩을 먹으면서 삼년동안을 하루처럼 한결같이 모시었다. 동생이나 조카들을 어루만져 상냥하게 도리를 교훈하였고, 때로는 울면서 종아리를 때리며 말하기를『우리 집안은 칠백년 동안을 충효로써 서로 전하여 왔다. 너희도 공부에 힘쓰라. 어찌 감히 우리 가풍을 욕되게 하여서야 되겠느냐』하였다. 일찍이 부친상 때에 들어온 부조금품(賻助金品)을 모아 따로 저축하여 의장을 마련하여 범문정공(范文正公)의 옛 일을 본받으려 하였고, 그 호를 스스로 지범(志范 : 범문정공(范文正公)을 사모한다는 뜻)이라 하였다.

 

종인과 죽은 친구가 남긴 외로운 어린이들을 기출같이 길러서 때를 맞추어 시집 장가를 보내 주었다. 처상 때에 쓰기 위하여 석회 수백곡을 마련하여 둔 것을 다른 사람이 그 어버이의 장례를 치를 즈음에는 두말없이 나누어 주어 버렸는데 당초의 목적대로 쓸 일이 생겨 가인이 물었더니 대답하기를『급한데에 꾸어 주었으면 그만이지 차마 어찌 되돌려 달라고 하겠느냐. 나는 이미 꾸어간 사람의 이름조차 잊었노라」고 하였다. 평생을 재산 모으기에 힘쓰지 아니하여 집이 가난하여 되박으로 꾸어다가 끼니를 이어 가면서도 빈객의 신발은 항상 섬돌에 가득하였다. 벼슬살이하는 동안에는 얼음처럼 찬 바람이 돌았으며, 정무를 처리할 적에는 아전들은 무서워하고, 백성들은 고맙게 생각하였으니 떠난 뒤에도 백성들이 언제나 그를 사모하였다. 기미년(1559)에 세상에 태어나서 기유년(1579)에 사마시에 급제하고 경인년(1950)에 문과에 급제하여 괴원에 선발되었다가 얼마뒤에 주부(主簿)로 승진되고 감찰(監察)과 호조 좌랑을 거쳐서 통진 현감에 임명되었다. 임진년 난리를 당하여 창고의 곡식과 선비집안의 남녀를 싣고 강화도(江華島)로 옮기어 놓고, 우성전(禹性傳)과 함께 격문을 지어 도성밖에 흩어져 있는 군사들을 불러모아 적군을 방어하였는데, 계획과 일의 처리를 짜임새있게 하니 모든 군졸이 태산처럼 믿었으므로 그 고을에서 망실된 것이 없고 적군도 끝끝내 강도를 범하지 못하였다. 계사년(1593)에 모친상을 당하였고 탈상하자 예조 정랑으로 임명되었다가 얼마 뒤에 장악원 첨정으로 옮기더니, 외직으로 영해 부사(寧海府使)가 되었는데, 이듬해에 벼슬을 버리고 돌아가려 한즉 백성들이 길을 막고 만류하였으나 머무르기를 즐겨하지 않았다. 이것을 조정에서 알게 되어 다시 강화 부사로 임명하였는데, 백성들에게는 너그러우면서도 군비등을 충실하게 다져서 탄탄한 보장을 구비시켜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이 힘을 많이 입고 있다. 태상시(太常寺) 첨정과 국자 사성, 사헌부 장령, 군자감, 사옹원, 선공감 등의 정(正)을 거쳤으며, 종성 나주 광주 강계 등의 부사 또는 목사에 임명이 있었으나 모두 부임하지 아니하였고, 공주 목사로부터 승문원 판교, 사복시 정이 되었었고, 을사년(1605)에 통정대부로 승진되어 길주 목사가 되었다가 곧 영흥으로 옮기었고, 병오년(1606)에 벼슬이 바뀌어 서울로 올라왔더니 하지사(夏至使)가 되어 중국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영평에 이르러서 병이 들어 이듬해 3월에 봉산관에서 세상을 떠나니, 나이가 49세이었고 양근의 서향 언덕에 장사지내었다. 전의이씨에는 세대마다 이름높은 이가 있었으니 고려때의 태사(太師) 도(棹)라는 분이 비조이고, 조선조에 들어와서 휘 정간(貞幹)은 100세된 모친을 순효로 받들어 왕께서도 알았고, 세상을 떠난 뒤에 효정공으로 증시되었다. 조고의 휘는 문성이니 경상병사로서 병조 참판으로 증직되었고, 아버지의 휘는 제신(濟臣)이니 북병사로 있다가 세상을 떠났는데, 이 어른이 바로 세상에서 일컫는 청강선생이며, 비는 목천 상씨이니 붕남(鵬南)의 딸이고 영의정 진(震)의 손녀이다. 부인은 안동권씨로서 동지 순(恂)의 딸이니 아들 학기(學基)를 낳았고, 재취는 양천허씨이니 개(漑)의 딸인데 무후하고, 삼취도 양천허씨이니 호(昊)의 딸로서 아들 석기를 두었다. 측실 몸에서 아들 형제 딸 형제를 두었으니 진기(晋基)는 무과에 올랐고 다음은 흥기(興基)이며, 맏딸은 박조(朴馳)의 첩이 되었고 다음은 어리다. 학기(學基)는 윤엄(尹儼)의 딸에게 장가들었는데 아들이 없이 일찍 죽고, 석기(碩基)는 판관(判官) 한사덕(韓師德)의 딸에게 장가들어 딸 형제를 낳았는데 모두 어리다. 세 부인이 모두 어진 행실이 있었고, 석기(碩基)는 그 풍채가 아름다워서 집안의 모습을 많이 닮았으며, 그 행적 또한 그럴만 하니 갸륵한 일이다. 아! 태징이여, 높은 재주로서 그 뜻을 다 펴지 못했지만 뜻이 또한 범상치 않아 공업을 세울 수 있으리라고 기대하였더니 너무 뜻이 곧은 탓으로 남에게 굽신거리며 남의 뒤나 쫓아 다니기를 즐기지 않았고, 자기의 뜻에 맞지 않으면 비록 달관과 귀인이라도 더러운 존재로 보았다. 이런 까닭에 평생동안 뜻을 얻지 못하였으나 조금도 뉘우치는 법이 없었으니 어찌 보면 슬픈 일이라 하겠다. 내가 태징과 사귄 지가 30년이나 되었으나, 감히 친구라고 하여 사심으로 대할수 없었으니, 도의를 좋아하는 것은 사람으로서의 선이며 또 그의 뜻이기도 한 것이다. 이어 명을 다음과 같이 엮는다.

 

슬프다! 우리 태징 장자의 풍모이며,

재상 포부지녔는데 가난이 팔자런가.

그래도 남 도우며 돌을 차도 자기(自己)탓을,

가풍이 그러하니 그 뜻을 뉘 꺾으리.

그대의 높은 행실 효우가 근원일세.

학문 깊은 탓이지만 교훈들을 길이 없네.

내가 이 명(銘) 쓰지만 그대 덕행 다 못쓰네.

월사(月沙) 이정귀(李廷龜) 지음

 

 

 

 

 

志范公 諱 壽俊 墓碣銘 幷序

 

淸江李公○以氣節文章○爲一代偉人○而尤號爲法家故○諸子皆賢○其仲子曰壽俊○字台徵○自始知名人咸以國士期之○及其奉使燕京道卒也○其僚若屬○哭於次行○族悲於道○戚故○遠逆而哭○里人巷哭○朝之薦紳○及吏士○母論識與不識○走吊哭如不及○其尤親且舊者○聚而經紀其喪與後事○無不盡○噫○台徵爲官○散署○恒虐外位○於朝不能一年○非有及人功澤○而能令人見慕○一至於此○是知爲善者誠服人○而人之慕之○不在於官與位也○台徵○天姿樂易○神坦朗○長身秀骨○動止華雅○重然諾敦氣誼○與人交○洞見肝肺○初持一心○未嘗變節○見人過○必忠告而善導之○故人無不愛且敬○久而益信○早遊牛溪先生門○門下士翕然稱之○淸江公之在北營○虜陷慶源○中外大姑○台徵以布衣○抗疏願赴軍前○與父俱死○宣廟壯之○給傳以送都○門外送者塡○咽至不能容○一時艶稱之○及淸江公在謫○所疾革○台徵焚香祝天○嘗糞驗吉凶○斫指和藥○芳喪從跣扶巴○躬自負土爲墳○手具祭需○日叉一盂○三年如一日○撫弟姪○諄諄敎訓○常泣而蚩之曰○吾家七百年○忠孝相傳○汝輩勉學○豈敢贊我家風○嘗別儲喪時賻物○欲設義庄○如范文正故事○自號志范○宗人及亡友遺孤○養己出○婚以時爲○妻喪辨石灰數百斛○人有欲葬其親者輒與之○及將用○家人問之則曰○急而貸我○何忍求償○吾己忘其名矣○平生不治生産○家貧稱貸○以自給○然食客履常滿○居官氷孼自飭○爲政必使吏畏而民懷故○去後常有思○生於己未○中己卯司馬○庚寅及第○選槐院○俄陞主簿○歷監察戶曹佐郞○拜通津縣監○値壬辰亂○悉載倉實及士女○移於江都○與禹性傳檄召京外散卒○以禦賊規妓調度○一軍倚以爲重縣故○無所亡失○賊亦終未犯江都○癸巳丁內艱○制除拜禮曹正郞○俄自掌樂僉正○出爲寧海府使○逾年棄歸○民遮道留○不肯留用○是繫逮○又出爲江華府使○寬氓征畜軍實○屹然爲保障至今賴之○歷太常僉正○國子司成○司憲府掌令○軍資司饔繕工正○拜鍾城羅州光州江界府使○牧使○皆不赴○自公州牧使入爲承文判校○司僕正○乙巳陞爲通政○吉州牧使○旋移永興○丙午遞還○以賀至使○還至永平病明年三月卒于鳳山館○春秋四十九○葬楊根西向原○全義之世有聞人○高麗太師棹是鼻祖○入本朝○有諱貞幹○奉百歲母○以純孝聞卒○諡孝靖○祖諱文誠○慶尙兵使○贈兵曹判○考諱濟臣○官卒北兵使○卽世所稱○淸江先生○騙木川尙氏○鵬南之女○領議政震之孫○配安東權氏○同知恂之女○生男曰學基○再娶陽川許漑女○无后○三娶陽川許昊女○生男曰碩基○側室有二男二女○曰晋基○中武科○次興基○女爲朴馳妾○餘幼○學基娶尹儼女○無子早卒○碩基娶判官韓師德女○生二女○幼三夫人皆有賢行○碩基○風誼惟肖刑於家者○足徵亦可尙也○嗚呼○台徵旣負高世行其志又不凡○謂功業可立○致惟其警惹○不肯坦仰隨人後○非其意雖達官貴人○視之若○雀以故終身坎岩○而不少悔悲夫○予之友台徵○三十年所矣○然非敢以友故私君○盖樂道人之善○亦君志也○銘曰嗟吾台徵○長者之風○廊廟之姿○天得也○貧而好施○疽不詭隨世德也○凡君異行○皆孝之推吾必謂之學也○原難作○我訓銘辭○薄夫式也○月沙李廷龜撰

 

 

 

 

 

志范公 諱 壽俊 神道碑銘과 서문

 

公의 諱는 壽俊 字는 台徵 號는 龍溪 또 志范이시다 公의 本貫은 全義로 鼻祖는 高麗開國統合三韓翊贊功臣인 太師 諱 棹이시다 中國의 孝子 老萊子처럼 효성을 다하여 百歲老母를 즐겁고 기쁘게 해드려 世宗大王으로부터 几杖과 家傳忠孝 世守仁敬 八字를 下賜받으신 諱貞幹 諡孝靖公이 七代祖이시며 北兵使를 지내셨고 文武兼全하여 世上에서 淸江先生이라 稱頌받았고 淸白吏로 錄選되고 領議政에 贈職되신 諱濟臣의 둘째 아드님으로 一五五九年十一月十五日 서울에서 태어나시었다. 公께서는 아버지 淸江公과 文誼가 깊었던 牛溪 成渾先生의 門下에서 修學하시고 一五七九年 司馬試에 入格 一五九十年 增廣文科에 丙科로 及第하시어 承文院權知正字 軍資監主簿 司憲府監察 戶曹正郞 通津縣監 禮曹正郞兼春秋館記注官 掌樂院僉正 寧海府使 江華府使 奉常寺僉正 司憲府掌令 成均館司成 軍資監正 公州牧使 司甕院正 繕工監正 司僕寺正兼春秋館編修官 承文院判校등의 內外職을 역임하고 一六○五年 通政大夫]로 승진하여 吉州牧使 永興大都護府使兼永興鎭管兵馬僉節制使 一六○六年 冬至兼進賀使 副護軍으로 中國 燕京에서 돌아오시는 길 永平에서 병을 얻어 一六○七年三月八日 黃海道 鳳山客館에서 別世하시니 享年 四十九歲이시었다. 五月에 현 加平郡 淸平面 三會里 山六十一番地二號에 葬事 뫼시었다. 公께서는 참으로 波瀾萬丈한 삶을 사셨다. 弱冠의 나이에 北兵使이신 아버지 淸江公이 위기에 처해있는 상황을 돕고자 임금께 상소하여 허가를 받아 아버지 곁으로 달려가는 憂國衷情의 길을 택한 大丈夫이시었다. 淸江公께서 억울하게 流配되신 울분을 참지못해 득병한 맏형 諱耆俊 負暄公이 一五八三年六月八日 별세하였고 장사도 치르기 전 九日만에 安東權氏 夫人이 별세하는 집안의 불운이 겹쳤고 이러한 傷心이 채 가시기도 전에 유배지의 청강공께서 이 소식을 들으시고 喪明之痛의 恨을 품고 득병하신 아버지의 병구완을 위해 손가락을 잘라 피를 약에 타서 드린 孝子였으나 끝내 回春하지 못하시고 十月六日 殞命하시어 머나먼 천리길에서 영구를 서울집으로 운구하여 四月에 장례를 치르는 불운의 연속이었다 나랏일을 맡을 때도 憂國衷情 일념으로 奉公하여 平難原從功臣一等 임진왜란에 왕을 호송한 공로로 扈聖原從功臣一等 宣武原從功臣一等 淸難原從功臣一等으로 錄勳 되시고 通津縣監 때는 임진왜란에 항거하기 위한 義兵募兵檄文을 지어 독려하시었다. 公께서는 一六二三年 둘째아들 碩基公이 靖社原從功臣一等에 錄勳되어 議政府領議政으로 贈職되시었다 公은 어려운 형편임에도 어린 동생 諱命俊 조카 諱重基 厚基형제를 친자식처럼 공부에 힘쓰고 가풍을 욕되게 해선느 안된다고 訓育하고 成家시키는데 정성을 다하셨음은 지나온 우리 집안 역사를 살펴보아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아버지 淸江公 장사 대 들어온 賻助金品을 모아 따로 基金을 마련하여 일가들을 도와주어 중국의 范文正公이 행한 뜻을 본받으려 실행하시고 스스로 號를 志范이라 하셨으니 오늘날의 淸江育英事業이 公의 遺志를 받드는 家業으로 발전시켜야 할 일이다. 어머니는 贈貞敬夫人 木川尙氏이니 宣務郞 鵬南의 따님이고 영의정을 지낸 成安公 震의 손녀이다. 첫째부인은 贈貞敬夫人 安東權氏로 同知 恂의 다님이고 領議政 轍의 손녀로 아들 學基를 낳았고 둘째부인은 贈貞敬夫人 陽川許氏로 將仕郞 漑의 딸인데 무후하며 셋째부인은 貞敬夫人 陽川許氏로 承仕郞 昊의 딸이고 아들로는 刑曹正郞으로 지극한 효행으로 孝子로 旌閭되어 左叅贊에 증직되고 아들 行迪이 原從功臣一等으로 叅錄되어 左贊成에 追贈된 碩基를 낳았다 側室에서 아들 형제 딸 형제를 두었는데 晋基는 武科及第하여 僉使이고 興基는 萬戶이다 公의 둘째아들 諱碩基 楊湖公은 後嗣없이 早卒한 兄에게 一六四六年 生員試入格 一六五三年 謁聖文科에 及第하여 司憲府持平 龍岡縣令을 지내고 大司諫에 贈職된 長子 諱行道를 出系承代시키셨다 맏아들 諱學基의 夫人은 坡平尹氏로 文科及第한 佐郞 儼의 따님이고 둘째아들 諱碩基의 夫人은 淸州韓氏이다 縣監 師德의 따님이고 判官 漪의 손녀로 贈貞敬夫人이며 四子二女를 두었다. 申象村은 公의 모습이 아버지 淸江公을 닮았고 李月沙는 長者의 風貌를 갖추었다는 글을 남겼으며 楸灘吳允謙 滄浪成文濬 白沙李恒福 於于柳夢寅 稚川尹昉 沙溪金長生 南廓朴東說 月沙李廷龜 秋浦黃慎 守夢鄭曄 晩退軒申應榘 黙齋李貴 仙源金尙容 등 知友들을 살펴도 그 德行이 어떠하였는지 짐작이 된다. 公께서는 下世하신지 四百年이 지나 公을 기리는 宗中에서 基道를 밝히는 神道碑를 세운다며 鍾濬 會長이 여러번 碑文을 請하여 지식과 글재주가 없어 두려움에도 平素 할아버지께 向한 恭敬하는 마음만은 간직하고 있었기에 끝내 사양하지 못하고 용기를 내어 감히 銘을 적는다. 나라를 위함에 아버지를 뫼시고 아버지를 위하여 단지를 하셨네 그 효심 하늘을 올렸는데 슬픔만이 남았고 가난만을 품은채 가업을 이어 받아 가풍을 이어서 가문을 빛내었네. 타고난 장자기풍 대과급제 이루시고 나라위해 앞장서서 충성을 실천하고 배운대로 실행하고 덕행을 쌓으시어 선대에게 욕됨없이 키우시고 가르쳤네. 불운했던 삶의 연속 공에게도 다가와 연경사행이 끝이 되어 불귀의 몸이었네 아! 슬프도다 높은 기개 포부 다 이루지 못하고 한 많은 인생역정 마흔아홉에 접으셨네 庚寅(二○一○)年正月 全義李氏淸江公派花樹會長 前聯合通信總務局長 十三代傍孫 天浩 삼가지음 碑表文 篆은 十四代孫 何哉 相稷 삼가씀

西紀  二○一○年 陰 三月 八日

全義李氏志范公派花樹會 謹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