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양호공 휘 석기 행적 |
서 기 |
나 이 |
조 선 |
약 보 |
|
1598 |
무술 |
1 |
선조 31 6월 7일 |
지범공(휘 壽俊)의 차자로 서울에서 출생. 자는 덕여(德舆), 호는 양호(楊湖). |
1607 |
정미 |
10 |
선조 40 3월 8일 |
아버지[志范公] 별세(수 49세) |
년월일 미상 |
|
|
청주인(淸卅人) 현감 한사덕(韓師德)의 딸과 혼인. 장녀 출생, <반남인 첨정 박세교(朴世橋)와 혼인.> 차녀 출생, <덕수인 정랑 이계(李稽)와 혼인.> |
|
1623 |
계해 |
26 |
인조 1 |
선공감역(繕工監役) |
10월 16일 |
장남 행도(行道) 출생. |
|||
1624 |
갑자 |
27 |
인조 2 |
생원시 입격(生員試入格) |
1625 |
을축 |
28 |
인조 3 |
사헌부(司憲府) 감찰(監察) 황간현감(黃澗縣監) |
1626 |
병인 |
29 |
인조4 |
차남 행일(行逸) 출생 |
1628 |
무진 |
31 |
인조 6 |
호조좌랑(戶曹佐郞) |
년월일 미상 |
|
|
장남 행도(行道)를 형님(휘 學基 )에게 출계시킴. |
|
1629 |
기사 |
32 |
인조 7 |
형조좌랑(刑曹佐郞) 모친께서 병으로 누우시니 백여일이나 밤낮으로 간호하고 손가락을 잘라 피를 내어 약에 섞어서 잡수시게 하기를 거듭하니 성한 손가락이 없었다. 마침 엄동인데도 목욕재계하고 북두칠성을 향하여 회복하기를 빌며 대변을 맛보아 병의 징후를 알아내려고까지 하였다. 삼남 행적(行迪) 출생. |
12월 15일 |
어머니 양천허씨(陽川許氏) 별세(수 52세) |
|||
1632 |
임신 |
35 |
인조 10 11월 13일 |
사남 행운(行運) 출생 |
1633 |
계유 |
36 |
인조 11 |
형조좌랑(刑曹佐郞) |
년월일 미상 |
|
|
장남 행도(行道), 광주인(廣卅人) 감사 안헌징(監司安獻徵)의 딸과 혼인 |
|
1640 |
경진 |
43 |
인조 18 1월 5일 |
행도(行道)의 장자 만겸(萬謙)출생 |
년월일 미상 |
|
|
형수(兄嫂)를 모시고 한집에서 40년간 살 때는 마치 어머니를 섬기듯 하였다 |
|
년월일 미상 |
|
|
차남 행일(行逸) 청송심씨(靑松沈氏) 교리(校理) 희세(熙世)의 딸, 영상(領相) 열(悦)의 손녀와 혼인 |
|
1646 |
병술 |
49 |
인조 24 |
행도(行道) 생원시 입격(生員試入格) |
년월일 미상 |
|
|
삼남 행적(行迪) 청송심씨 부사(府使) 장세(長世)의 딸과 혼인. |
|
1647 |
정해 |
50 |
인조 25 2월 6일 |
행도(行道)의 차자 백겸(百謙) 출생 |
년월일 미상 |
|
|
사남 행운, 여주인 군수 이이성(李以渻)의 딸, 우상(右相) 안동인 김상용(金尙容)의 외손녀와 혼인 |
|
1648 |
무자 |
51 |
인조 26 |
귀휴서(歸休暑: 장례등 담당) 별제(別提) |
1650 |
경인 |
53 |
효종 1 |
종친부 전적(宗親府典簿) |
1652 |
임진 |
55 |
효종 3 |
의빈부도사(儀賓府都事) |
1653 |
계사 |
56 |
효종 4 |
9월 10일 별세(別世). 양근 서종면 수화동(현 가평군 청평면 삼회리 퇴지) 경향 갑좌에 장사지냄. 가평군 청평면 삼회리 백자곡 지범공묘 상동측 갑좌로 1968년에 이장(移葬) |
1670 |
경술 |
|
현종 11 |
성효(誠孝) 출천유(出天有)로 정려(旌閭)되어 증(贈)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으로 증직 됨 |
1680 |
경신 |
|
숙종 6 |
삼남 행적(行迪)의 참원종공신일등책훈(參原從功臣一等策勳)으로 의정부좌찬성(議政府左贊成)으로 추증(追贈) 됨 |
* 參考 : 淸江公派 子孫祿
象村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