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습정공 휘 후기 행적 |
단 기 |
서 기 |
나 이 |
조 선 |
약 보 |
3906 |
1573 |
1 |
선조 6년 8월 8일 |
부훤공(負暄公, 휘 耆俊)의 둘째 아들로 태어남. 자(字)는 대재(大載). 또다른호 사곡(沙谷), 사오당(四吾堂). |
3934 |
1601 |
29 |
선조 34년 |
진사시(進士試) 입격. |
3941 |
1608 |
36 |
선조 41년 12월 18일 |
교무랑(敎務郞)에서 선교랑(宣敎郞)으로 제수 받음. |
3956 |
1623 |
51 |
인조 1년 4월 13일 |
평릉도(平陵道) 찰방(察訪)을 제수 받음. |
3957 |
1624 |
52 |
인조 2년 |
정사원종(靖社原従) 일등공신(一等功臣) 녹훈(錄勳). |
|
큰아들 행진(行進), 둘째아들 행우(行遇) 생원시(生員試)입격. |
|||
3월 3일 |
승훈랑(承訓郞)으로 승진. |
|||
4월 26일 |
봉훈랑(奉訓郞)으로 승진. |
|||
6월25일 |
통선랑(通善郞)으로 승진. |
|||
10월 11일 |
통덕랑(通德郞)으로 승진. |
|||
3958 |
1625 |
53 |
인조 3년 2월 |
소위장군(昭威將軍) 행(行)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 부사솔(副司率) 제수 받음. 선략장군(宣略將軍)으로 승진. |
6월 16일 |
진위장군(振威將軍)으로 승진. |
|||
3959 |
1626 |
54 |
인조 4년 1월 5일 |
중직대부(中直大夫) 행(行)공조좌랑(工曹佐郞) 제수 받음. |
3961 |
1628 |
56 |
인조 6년 9월 29일 |
통훈대부(通訓大夫) 행(行)형조좌랑(刑曹佐郞) 제수 받음. |
12월 3일 |
통훈대부 행(行)개성부(開城府) 도사(都事) 제수 받음. |
|||
3963 |
1630 |
58 |
인조 8년 6월 8일 |
어모장군(禦侮將軍) 행(行)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 익찬(翊贊) 제수 받음. |
3965 |
1632 |
60 |
인조 10년 2월 7일 |
통훈대부(通訓大夫) 행(行)형조정랑(刑曹正郞) 제수 받음. |
12월 22일 |
통훈대부(通訓大夫) 행(行)군기시(軍器寺) 부정(副正) 제수받음. |
|||
3966 |
1633 |
61 |
인조 11년 3월 10일 |
통훈대부(通訓大夫) 행(行)영천군수(榮川郡守:현 영주시장)제수 받음. 둘째아들 행우(行遇), 증광문과 (增廣文科) 을과(乙科)로 급제(及第). |
3967 |
1634 |
62 |
인조 12년 4월 |
전의이씨 성보(姓譜)인 숭정보(崇禎譜)를 판각(板刻)하여 간행함(간행한 후에 목판각본을 영천군 관할의 부석사(浮石寺)에 보관시켰으나 현재는 존재하지 않음). |
3968 |
1635 |
63 |
인조 13년 10월 27일 |
큰아들 행진(行進), 증광별시문과(增廣別試文科) 병과(丙科)로 급제. |
3971 |
1638 |
66 |
인조 16년 1월 5일 |
통훈대부 제용감(濟用監) 정(正) 제수 받음. |
3972 |
1639 |
67 |
인조 17년 4월 4일 |
겸 내승(兼 內乘)을 제수 받음. |
9월 4일 |
통훈대부(通訓大夫) 행(行)담양도호부사(潭陽都護府使) 제수 받음. |
|||
3975 |
1642 |
70 |
인조 20년 10월 18일 |
통훈대부(通訓大夫) 행(行)상의원(尙衣院) 정(正) 제수 받음. |
11월 2일 |
통훈대부 사도시(司寺) 정(正) 제수 받음. |
|||
3976 |
1643 |
71 |
인조 21년 3월 22일 |
통훈대부 장락원(掌樂院) 정(正) 제수 받음. |
3978 |
1645 |
73 |
인조 23년 9월 3일 |
통훈대부 제용감(濟用監) 정(正) 제수 받음. |
3979 |
1646 |
74 |
인조 24년 10월 28일 |
큰아들 행진(行進), 문과 중시(文科重試) 을과(乙科)에 급제. |
3983 |
1650 |
78 |
효종 1년 11월 11일 |
향년 78세로 별세 |
윤11월22일 |
정사원종(靖社原従) 일등공신 녹훈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 이조참의(吏曹參議)로 증직(贈職)됨. |
|||
12월 |
둘째아들[行遇], 영국원종 일등공신 녹훈으로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조참판(吏曹參判)겸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부총관(副摠管)으로 추증(追贈)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