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강공파화수회에서 수입초등학교 설립
페이지 정보
西潭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2-06-14 08:52 조회1,779회 댓글0건본문
수입초등학교 설립 역사
[[양평교육사 참조]]
1. 학교의 설립 및 발전
가. 설립 및 개교
1925년 당시 현황을 보면, 서종면 내에는 면 소재지인 문호리 문호공립보통학교(1922년 개교. 4년제, 수년 후 6년제)가 있었으나 수입리에서는 6㎞, 노문리와 삼회리에서는 10㎞ 이상의 원거리이고 통학로가 험하여 취학자가 많지 않았다.
수입리는 전의 이씨 청강공파 종중의 선조 묘가 위치한 지역으로서 교육 시설이 없음을 안타깝게 여겨서 1926년 5월 중종 회장 이경세가 주관, 문중회의를 개최하여 수입 지구에 사설교육시설을 설립하기로 의결하였다. 그 해에 대지 500평을 마련하고 건물(교실 및 직원실) 20평을 건설하여 1927년 4월 수입농림의숙(후에 수입학술강습소로 개칭)을 설립 개교하고 1. 3학년, 2. 4학년 복식 수업을 하였다. 당시의 지도 강사 현황을 보면, 초임강사로 휘문고등보통학교 5년 졸업자 박승화와 이천군 이천공립보통학교 6년 졸업자인 이철호 2명이었다. 강사 보수는 1년에 강사 1인당 벼 15석 씩 2명에 30석으로 제 경비는 벼 5석, 종중에서 년 35석을 지출하여 충당하였다. 당시 비품으로는 학생 책상, 걸상, 교탁, 의자, 풍금 1, 종 1점을 종중에서 준비하였다.
1935년 이후의 강사 동태를 보면, 박승화, 이철호가 강사 퇴임한 후 후임으로 경성 제 2 공문 고등보통학교 5년 졸업자인 이명호와 강화군 길상공립보통학교 6년 졸업자인 조경구를 채용하였다. 그 후로는 수시로 강사 변동이 있었다.
후원회 조직은 수입농림의숙(수입학술강습회) 창설 당시부터 공립학교로 승격되기 전까지 남태희씨가 후원회장으로 활약하였다. 이 후로 경영 부담 방법의 변경이 있었는 데, 종중에서 매 년 벼 35석씩을 제공하다가 개답한 논의 경작자에게서 논 1두락(200평)에 벼 소두 1두씩 징수하여 징수된 40석을 매년 수입 학술 강습회에 운영비로 제공하였다.
1940년 4월 이명호 강사가 서종공립국민학교 교사로 전임 근무하면서 1943년 공립학교로 인가 신청하기 위하여 양평군 학교비에 교섭한 즉 대지가 4,000평은 확보되어야 한다 하여 수입학술강습회 후원 회장인 남태희가 대지를 마련하기 위하여 이봉호, 박재희, 이익영에게 권유하여 4,000평을 확보하고 기부 채납 신청서를 작성 봉인한 후 이명호가 직접 양평군 학교비에 제출하였는데 인가가 나기도 전에 해방이 되어 인가 문제는 일단 중단되었다.
해방 후 승격 추진 상황을 보면, 양평군 학무과의 이낙응 시학이 경기도에 수입국민학교로 승격인가 신청서를 제출하고 이명호 교사를 교장으로 내신하였으나 인가가 나오지 않아서 이명호가 도 학무과에 가서 박중강 시학에게 상의하였으나, 도의 재정관계로 수입국민학교로는 인가가 아니 되고 1946년 9월 7일 서종국민학교 수입 분교장(3학급 편성)으로 인가되었다. 그 후 1948년 7월 1일 수입국민학교로 인가 받고, 1948년 11월 15일 초대 교장 으로 이명호가 부임하였다.
나. 발전
1946년 7월 1일 수입국민학교로 승격 개교하여 1949년 9월 1일 수입초등학교 노문분교와 삼회분교를 개설하였고, 1971년 9월 1일 노문분교는 노문국민학교로 승격되어 인가되었고, 1973년 7월 1일 관할 행정구역 개편으로 삼회분교는 가평으로 편입되었다. 1983년 3월 1일자로 노문분교로 편입되었고, 1994년 3월 1일 노문분교가 수입국민학교로 통폐합되었다. 1999년 9월 27일 본관교사 2개 교실이 증축되었다. 2또한, 지역 주민들의 숙원이었던 2000년 3월 1일 수입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이 개원하여 명실상부한 지역 중심의 학교로 거듭나게 되었다.
2. 연혁
1946. 7. 7 서종국민학교 수입분교장 인가
1948. 7. 1 수입초등학교 인가
1949. 9. 1 노문, 삼회분교 설치 인가
1950. 6. 27 6·25사변으로 휴교
1950. 10. 20 수복 개교
1971. 3. 1 노문분교 국민학교로 승격 인가
1973. 7. 1 행정 관할 구역 개편으로 삼회분교 가평으로 편입
1983. 3. 1 노문국교 수입국민학교 노문분교로 편입
1994. 2. 28 노문분교 수입국민학교로 통폐합
1996. 3. 1 수입초등학교로 개칭
1998. 3. 1 - 2000. 2. 28 경기도교육청지정 경제교육 시범학교 운영
2000. 3. 1 수입초등학교병설유치원 1학급으로 개원
2003. 2. 55회 졸업식 (졸업생 총1,486명)
3. 학교 현황
1926년 5월 청강 이씨 중종에서는 회장 이경세가 주관, 문중회의를 개최하여 수입지구에 사설교육시설을 하기로 의결하였다. 동년에 대지 500평을 마련하고 건물(교실 및 직원실) 20평을 건설하여 1927년 4월 수입농림의숙(후에 수입학술강습소로 개칭)을 설립 개교하고 1. 3학년, 2. 4학년 복식 수업을 하였다. 초대 교장 이명호의 노력으로 1946. 7. 7 서종국민학교 수입분교장 인가 개교하였으며, 1948. 7. 1 수입국민학교로 인가를 받은 후 계속 번성하였으나 1970년대부터 이농현상으로 자연 감소되어 2003년 8월 31일 현재 4학급 46명으로 운영하고 있다.
[[양평교육사 참조]]
1. 학교의 설립 및 발전
가. 설립 및 개교
1925년 당시 현황을 보면, 서종면 내에는 면 소재지인 문호리 문호공립보통학교(1922년 개교. 4년제, 수년 후 6년제)가 있었으나 수입리에서는 6㎞, 노문리와 삼회리에서는 10㎞ 이상의 원거리이고 통학로가 험하여 취학자가 많지 않았다.
수입리는 전의 이씨 청강공파 종중의 선조 묘가 위치한 지역으로서 교육 시설이 없음을 안타깝게 여겨서 1926년 5월 중종 회장 이경세가 주관, 문중회의를 개최하여 수입 지구에 사설교육시설을 설립하기로 의결하였다. 그 해에 대지 500평을 마련하고 건물(교실 및 직원실) 20평을 건설하여 1927년 4월 수입농림의숙(후에 수입학술강습소로 개칭)을 설립 개교하고 1. 3학년, 2. 4학년 복식 수업을 하였다. 당시의 지도 강사 현황을 보면, 초임강사로 휘문고등보통학교 5년 졸업자 박승화와 이천군 이천공립보통학교 6년 졸업자인 이철호 2명이었다. 강사 보수는 1년에 강사 1인당 벼 15석 씩 2명에 30석으로 제 경비는 벼 5석, 종중에서 년 35석을 지출하여 충당하였다. 당시 비품으로는 학생 책상, 걸상, 교탁, 의자, 풍금 1, 종 1점을 종중에서 준비하였다.
1935년 이후의 강사 동태를 보면, 박승화, 이철호가 강사 퇴임한 후 후임으로 경성 제 2 공문 고등보통학교 5년 졸업자인 이명호와 강화군 길상공립보통학교 6년 졸업자인 조경구를 채용하였다. 그 후로는 수시로 강사 변동이 있었다.
후원회 조직은 수입농림의숙(수입학술강습회) 창설 당시부터 공립학교로 승격되기 전까지 남태희씨가 후원회장으로 활약하였다. 이 후로 경영 부담 방법의 변경이 있었는 데, 종중에서 매 년 벼 35석씩을 제공하다가 개답한 논의 경작자에게서 논 1두락(200평)에 벼 소두 1두씩 징수하여 징수된 40석을 매년 수입 학술 강습회에 운영비로 제공하였다.
1940년 4월 이명호 강사가 서종공립국민학교 교사로 전임 근무하면서 1943년 공립학교로 인가 신청하기 위하여 양평군 학교비에 교섭한 즉 대지가 4,000평은 확보되어야 한다 하여 수입학술강습회 후원 회장인 남태희가 대지를 마련하기 위하여 이봉호, 박재희, 이익영에게 권유하여 4,000평을 확보하고 기부 채납 신청서를 작성 봉인한 후 이명호가 직접 양평군 학교비에 제출하였는데 인가가 나기도 전에 해방이 되어 인가 문제는 일단 중단되었다.
해방 후 승격 추진 상황을 보면, 양평군 학무과의 이낙응 시학이 경기도에 수입국민학교로 승격인가 신청서를 제출하고 이명호 교사를 교장으로 내신하였으나 인가가 나오지 않아서 이명호가 도 학무과에 가서 박중강 시학에게 상의하였으나, 도의 재정관계로 수입국민학교로는 인가가 아니 되고 1946년 9월 7일 서종국민학교 수입 분교장(3학급 편성)으로 인가되었다. 그 후 1948년 7월 1일 수입국민학교로 인가 받고, 1948년 11월 15일 초대 교장 으로 이명호가 부임하였다.
나. 발전
1946년 7월 1일 수입국민학교로 승격 개교하여 1949년 9월 1일 수입초등학교 노문분교와 삼회분교를 개설하였고, 1971년 9월 1일 노문분교는 노문국민학교로 승격되어 인가되었고, 1973년 7월 1일 관할 행정구역 개편으로 삼회분교는 가평으로 편입되었다. 1983년 3월 1일자로 노문분교로 편입되었고, 1994년 3월 1일 노문분교가 수입국민학교로 통폐합되었다. 1999년 9월 27일 본관교사 2개 교실이 증축되었다. 2또한, 지역 주민들의 숙원이었던 2000년 3월 1일 수입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이 개원하여 명실상부한 지역 중심의 학교로 거듭나게 되었다.
2. 연혁
1946. 7. 7 서종국민학교 수입분교장 인가
1948. 7. 1 수입초등학교 인가
1949. 9. 1 노문, 삼회분교 설치 인가
1950. 6. 27 6·25사변으로 휴교
1950. 10. 20 수복 개교
1971. 3. 1 노문분교 국민학교로 승격 인가
1973. 7. 1 행정 관할 구역 개편으로 삼회분교 가평으로 편입
1983. 3. 1 노문국교 수입국민학교 노문분교로 편입
1994. 2. 28 노문분교 수입국민학교로 통폐합
1996. 3. 1 수입초등학교로 개칭
1998. 3. 1 - 2000. 2. 28 경기도교육청지정 경제교육 시범학교 운영
2000. 3. 1 수입초등학교병설유치원 1학급으로 개원
2003. 2. 55회 졸업식 (졸업생 총1,486명)
3. 학교 현황
1926년 5월 청강 이씨 중종에서는 회장 이경세가 주관, 문중회의를 개최하여 수입지구에 사설교육시설을 하기로 의결하였다. 동년에 대지 500평을 마련하고 건물(교실 및 직원실) 20평을 건설하여 1927년 4월 수입농림의숙(후에 수입학술강습소로 개칭)을 설립 개교하고 1. 3학년, 2. 4학년 복식 수업을 하였다. 초대 교장 이명호의 노력으로 1946. 7. 7 서종국민학교 수입분교장 인가 개교하였으며, 1948. 7. 1 수입국민학교로 인가를 받은 후 계속 번성하였으나 1970년대부터 이농현상으로 자연 감소되어 2003년 8월 31일 현재 4학급 46명으로 운영하고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