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위[神位, 신주, 지방] 앞의 젯상에 제수(祭需)를 올리는 것을 진설(陳設) 또는 진찬(進饌)이라하며 보통 제수(祭羞)는 5줄로 진설한다.(먼저 분명히 해둘 것은 신위를 모신 쪽의 실제 방위(方位)가 어느쪽이든 불문하고 북(北)쪽으로 간주 하므로 제주(祭主)의 자리는 남(南)쪽이 되며 제주의 오른쪽이 동(東), 왼쪽이 서(西)인 것이다.)

 

신위 앞 쪽[북(北)]줄이 첫째줄이고 제주쪽[남(南)]이 다섯째 줄로 전제하여 적으면

 

<다섯째줄> 과일은 왼쪽[서(西)]으로부터 대추[조(棗)], 밤[율(栗)] 배[이(梨)], 감[시(枾)], 생과일 순서로 배찬(排饌)한 후 조과(造菓)를 놓는다.[선진조과(先進造菓)]

 

<넷째줄> 왼쪽 끝의 포[좌포(左脯)=소고기, 북어, 대구, 암치(민어), 문어, 전복]와 오른쪽 끝의 식혜[우혜(右醯)]가운데에 익힌나물, 물김치, 간장, 초간장(겨자), 새우젓(젓갈류)을 놓는다.

 

<셋째줄> 적(炙)을 가운데로 하여 간, 천엽 등 고기회와 생선회, 전(煎), 자반을 양쪽에 놓는다.

 

<둘째줄> 왼쪽부터 소탕(素湯), 패탕(貝湯), 계탕(鷄湯), 육탕(肉湯), 어탕(魚湯) 순으로 진설하되 왼쪽[고위(考位)의 메, 국앞]으로 몰아서 진설하고 떡 옆에 편청[꿀, 조청, 설탕]을 놓는다.

 

<첫째줄> 고비(考), 조고비(祖考) 등 양위(兩位)분합설시合(設時)에 시접기[匙楪器=숟가락, 젓가락을 담은 그릇]을 가운데로 하여 좌고(左考), 우비(右騙) 되게 왼쪽[서(西)]으로부터 메[반(飯)], 술잔[잔반(盞盤)], 국[갱(羹)]순으로 각각 놓고 왼쪽[서(西)] 끝에는 국수[면(麵)], 오른쪽[동(東)] 끝에는 떡[병(餠)]을 놓는다. [서면동병(西麵東餠)]

 

또한 젯상앞[남(南)] 가운데 향안(香案)을 놓고 오른쪽[동(東)]에 술상, 왼쪽[서(西)]에 축판(祝板)을 배치한다. 향안 위에 향로(香爐)를 왼쪽[서(西)]에 향합(香盒)을 오른쪽[동(東)]에 놓으며 술상에는 강신술잔[강신잔반(降神盞盤)], 퇴주그릇, 술주전자(술병)를 놓으며, 모사그릇[모사기(茅沙器)]은 향안 앞 밑바닥에 배치한다.

 

양위(兩位)분 제사를 모실때의 진설(배찬)을 그림으로 하면 다음과 같다.

 

 

양위분을 모실 때의 신위(신주, 지방)의 위치는 고위(考位)는 왼쪽, 비위(位)는 오른쪽[고서비동(考西東)]으로 한다. 이때에 독()과 교의(交椅)가 있으면 독안에 신위를 모신 후 교의에 올려 모신다. 없으면 탁자, 의자, 제병[祭屛=글씨, 그림이 없는 백지병풍, 일반 병풍으로도 사용], 또는 방벽에 백지를 붙이고 백지위에 지방을 붙여 모신다. 시속을 따라서 지방(紙榜)과 함께 사진(초상화)을 모시는 것은 제주(祭主)가 판단할 몫이다. 예전에는 신위와 젯상 위에 옥내에서는 앙장[仰帳=천정에 치는 포장], 옥외[묘제(墓祭)]에서는 차일(遮日)을 쳤으나 요즈음은 간소화 되어 볼 수 없다.

② 제수 중에 고기[육(肉)]는 왼쪽, 생선[어(魚)]은 오른쪽[어동육서(魚東肉西)]으로 진찬한다.

익힌 제수는 왼쪽, 날것은 오른쪽[생동숙서(生東熟西)]으로 향하고 어포는 등쪽이 밑으로, 어적(魚炙)은 등쪽이 뒷쪽[북(北)]을 향하게 한다.

은 밑으로부터 소, 육, 계(어)적 순으로 포개서 괸다.

잔반과 시접을 놓기에 젯상이 좁을 때는 첫째줄과 둘째줄 사이에 놓는다.

옆에는 편청(꿀, 조청, 설탕)을 놓는다.

추석 차례에는 메, 국 대신 송편과 토란국을 올리며, 설 차례에는 메 대신 떡국을 올리기 때문에 국은 쓰지 않는다.

(湯)은 적(炙)의 수(數), 즉 단적(單炙)이면 단탕, 3적(三炙)이면 3탕, 5적(五炙)이면 5탕으로 적의 숫자와 맞추어 쓴다.

과일은 선진조과(先進造菓)로서 대추, 밤, 배, 감의 순으로 먼저 왼쪽[서(西)]으로부터 놓은 후 계절에 따른 과일을 놓을수 있으며 그 다음에 약과, 다식, 산자(오른쪽 끝)등의 조과를 놓는다.

 

<첨가하여 강조하고자 함은 제수(祭)는 정성어린 마음으로 마련하고, 정성스레 만든 음식을 젯상에 올리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제수의 가짓수에 집착하지 말고 각기의 형편에 따라 간소하게 제사를 모셔도 되는 것이다. 자기가 먹을 밥과 술만 있으면 제사를 지낼 수 있는 것이며 술(곡주 : 화학주는 쓰지 않음)도 없으면 깨끗한 물[정화수(井華水)]로 대신할 수도 있다는 것은 이에 비유한 것으로 조상(祖上)의 제사를 정성껏 꼭 모셔야 한다는 상징적인 뜻이 함축된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