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진설을 모두 마치면 출입문(대문, 현관문)을 열고 신위를 모시며 제사 참례자들은 신위쪽을 향하여 공수(拱手)하고 서서 촛불을 켠다.(전깃불이 밝아도 의식이므로 제사를 모시는 제사상에는 촛불을 켜며, 묘제(墓祭)에는 촛불을 켜지 않는다.)

② 제주(祭主) 또는 초헌관(初獻官)은 향안(香案) 앞에 무릎을 꿇고 앉아 세 번 분향(焚香)한 후 한발 뒤로 물러나서 두번 절[재배(再拜)]한다.

③ 초헌관은 다시 향안앞에 무릎꿇고 않아 술잔[강신잔반(降神盞盤)]에 집사자로부터 잔을 채우게 한 술잔을 3번에 나누어 모사그릇에 부은후(묘제(墓祭)일 때에는 땅바닥에 왼쪽으로부터 3번에 나누어 붓는다. 또한 강신술잔이 없을 때에는 비위(位)의 술잔을 사용한다) 독()을 열고 두번 절한다. 이때 참사자 모두 재배한다[참신(參神)].

④ 초헌관이 또 향안 앞에 무릎꿇고 앉아 고(考), 비() 순으로 술을 올린 후 정저[正箸=젓가락 손잡이가 왼쪽[서西]으로 향하게 하여 시접위에 걸쳐 놓는다]하고 메뚜껑을 벗긴다[계반개(啓飯蓋)].

⑤ 참사자들은 모두 엎드리고 축관(祝官)은 초헌관쪽[동(東)]을 향하여 앉아 축을 읽은 다음 참사자는 모두 일어서고 초헌관만 재배한다.(이때 참사자 모두 잠시 엎드린채 묵념을 하기도 하고 곡(哭)을 하기도 한다)

⑥ 아헌관[亞獻官=두번째 헌주자]은 향안앞에 무릎꿇고 앉아 술잔을 가득히 채워 올린 후 재배하고 물러선다.

⑦ 삼헌관[三獻官=세번째 헌주자]은 향안앞에 무릎꿇고 앉아 가득히 채운 술잔을 조금씩 3번에 나누어 3분의2가 될 정도로 퇴주그릇에 붓고 난 다음에 잔을 올린 후 재배하고 물러선다.

⑧ 초헌관은 다시 향안 앞에 무릎꿇고 앉아 술 주전자(술병)를 올려 삼헌관이 따른 만큼 축이난 술잔을 가득 채우고[첨작(添酌)], 집사자는 메[반(飯)]에 숟가락 앞이 오른쪽[동(東)]을 향하게 꽂는다[삽시(揷匙)]. 이때에 참사자 모두 엎드려서 잠시 조상을 추념한 다음 초헌관만이 재배하고 물러선다. 조상께서 많이 잡수시기[흠향(歆饗)]를 권하기 위함[유식(侑食)]이다.

⑨ 참사자 모두 방 밖으로 나가거나 젯상앞을 병풍으로 둘러친다.[합문(闔門)]

⑩ 합문 후 5분정도 지나서 기침 같은 인기척을 내고 방에 들어가거나 병풍을 걷는다[계문(啓門)].

⑪ 국을 숙냉으로 바꾸어 올린 다음 숟가락을 뽑아 메를 세번 떠서 숙냉에 풀어 드리고  [진숙수(進熟水)]숟가락을 숙냉기에 놓는다.

⑫ 숟가락과 젓가락을 시접으로 옮겨 담고[낙시저(落匙著)] 메 뚜껑을 비롯한 모든 그릇의  뚜껑을 덮는다[합반개(闔飯蓋)].

⑬ 제주(초헌관)이하 참사자들은 재배[남(男)], 또는 4배[여(女)]하고[사신(辭神)] 제사를 끝낸다.

    시제[時祭=절사(節祀)] 때는 축관은 초헌관과 마주서서 함께 양손을 맞잡고 어깨높이로 올려 읍(揖)하며 이성(利成) 또는 예성(禮成)이라고 읊어 고(告)하고 제사를 마친다.

    시제[절사] 때의 초헌은 반드시 종손(宗孫)만이 하는 것은 아니다.

⑭ 지방과 축문을 불에 태우고 재를 향로에 담는다[분축(焚祝)].

⑮ 젯상위의 제수를 내리고 제의기구를 치운다[음복(飮福) 및 철상(撤床)].

 참사자 모두가 제수를 나누어 먹으며, 조상의 음덕을 기린다[음복(飮福)].

(가) 헌작할때 술잔을 향로 위로 해서 올리지만 향로 위를 빙빙 돌린후 올리지 않는다.

(나) 제주가 혼자일 때에도 초헌, 아헌, 삼헌, 순으로 무두 다 헌작을 해야한다.

(다) 제사는 조용한 가운데 엄숙히 지내야 하므로 젓가락을 시접이나 젯상에 탁, 탁 치는등의 소리를 내어서는 아니된다.

(라) 숟가락, 젓가락을 제수마다 옮겨가며 제수 위에 올려 놓지 않는다.

(마) 올렸던 술잔은 좌우[동서(東西)] 집사자가 물려서 퇴주그릇에 붓고 제자리에 놓는다.

 

※덧부치면 순서가 바뀔 때마다 퇴주(退酒) 등 반복되는 절차는 생략해서 적었으므로 연결하여 수행하면 된다.

 

위 순서는 가가례(家家禮)라하여 집집마다 다를 수 있으나 청강공파화수회에서 진행하는 순서임.